본문 바로가기
부업

직장인 부업 네이밍 공모전 도전하기

by 하비머니 2024. 5. 12.

직장인 부업이라고 하기는 조금 애매하지만 선정되면 대박인 네이밍 공모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얼마 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이름 공모전에서 평화누리특별자치도라는 이름이 대상을 받고 상금 1,000만원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 정도는 나도 짓겠는데...' 라는 희망찬 생각으로 네이밍 공모전 도전을 꿈꿉니다.
하지만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네이밍공모전 경쟁률은 5만2435대 1이었다고 합니다.
...그래도 네이밍 공모전에 대해 알아는 봅시다. 밑져야 본전입니다.

네이밍 공모전의 장단점

진입장벽이 전혀 없고 자본금이 전혀 필요하지 않아 누구나 도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과도한 시간 투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모바일로도 신청이 가능하고 시간이 10분도 안 걸리는데 선정이 되어 상금을 받는다면 대박입니다.
단점은 선정이 안되면 시간만 쓰고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는 겁니다.
하지만 매주 돈 주고 희망을 사는 로또를 사는 것보다는 공모전에 선정될 거라는 무료 희망을 사는 게 나은 것 같습니다. 당첨 확률도 로또보다 높습니다!

네이밍 공모전 신청 방법

네이밍 공모전을 신청하기 위해 공모전을 하나하나 찾으러 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다행히도 공모전을 모아놓은 사이트가 있기 때문입니다.

1. 라우드 소싱 (사설 네이밍 콘테스트)


라우드 소싱이라는 사이트에는 다양한 사설 네이밍 콘테스트가 올라와있습니다.

라우드 소싱-콘테스트-아이디어 메뉴로 들어가서 원하는 네이밍 콘테스트에 응모하시면 됩니다.

회원가입을 해야 응모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해당 사이트에서 바로 공모전에 신청할 수 있어서 이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15% 이상의 높은 플랫폼 수수료가 가장 큰 단점입니다.



2. 위비티(공공기관 등 네이밍 공모전)


위비티 사이트에 들어가면 공공기관 등 다양한 네이밍 공모전이 올라와 있습니다.

위비티-공모전-네이밍/슬로건 메뉴에 들어가서 원하는 공모전에 응모하시면 됩니다.

위비티 사이트는 회원가입 없이도 응모 가능합니다.
하지만 위비티 사이트 내 제출이 아니라 해당 지자체에서 원하는 방법으로 공모전을 제출해야 한다는 점이 번거롭습니다.

제출 방법으로는 구글 폼, 모아 폼, 이메일 제출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공공기관 네이밍 공모전은 수수료가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네이밍이 선정되지 않더라도 커피 기프티콘이나 상품권 등 참가상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평화누리 특별자치도가 그랬듯 공공기관은 특별하고 참신한 아이디어 보다는 익숙함을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평범하고 진부한 저에게는 공공기관 네이밍 공모전 참여가 더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위비티 사이트에서 진행 중인 네이밍 공모전을 확인하고 마감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공모전에 바로 참가했습니다.

오늘 마감인 나주시 관광브랜드 네이밍 공모전에 '나주와주'라는 네이밍을 제출했습니다.
설문 폼으로 제출했기 때문에 아이디어 생각부터 제출까지 5분도 걸리지 않았습니다.
네이밍의 이유도 적어줍니다. 나주와 라임을 맞춘 와주를 이용해 나주에 와달라는 뜻으로 지었습니다.

참혹한가요? 어쩔 수 없습니다. 밑져야 본전입니다.
시간 날 때 틈틈이 공모전에 신청한다면 언젠가는 선정이 되고 상금을 받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선정만 되면 지금까지 신청한 시간을 다 모아도 투자 대비 높은 수익 창출 성공입니다.

참고로 공모전 사이트에 올라오지 않은 공모전이 있을 수도 있으니 본인 지자체 홈페이지를 살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시청, 구청, 교육청, 도서관 등 다양한 홈페이지가 있고, 홍보가 잘 되지 않아 경쟁률이 낮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요즘 다양한 부업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 정말 돈 벌기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유튜브 등 광고는 부업으로 월200~ 월1,000은 가볍게 번다는 이야기를 늘어놓으며 부업 도전을 유혹합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소수겠지만 포기하고 가만히 앉아 있는 것 보다는 실패하더라도 뭐라도 도전 해봐야 조금의 가능성이라도 생깁니다.

'나주와주' 라는 제 아이디어처럼 시시한 말장난이더라도 지금 당장 네이밍 공모전에 도전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